top of page

사업분야

슬라이드5.PNG

   사업 목적

  • 현장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공정의 관리 및 현재 상황을 관리자가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 

  • 도면 중첩을 활용한 도면 대비 현장상황을 확인

  • 현장변화를 쉽게  파악가능하여 공정현황, 위험관리외에 상호간에 효과적인 커뮤니티가 가능.

  • 위치, 면적, 부피, 도면 작성등과 같은 업무를 효율적으로 실행

  • 건축물, 문화재의 현상태를 파악 하고, 수치를 가진 이미지로 기록하여 자료를 통하여 보존  및 복원에 활용

  • 홍보 및 영상제작을 위한 항공 자료 제공

  • 재해 재난시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을 객관적인 자료로 취득 및 보존

슬라이드6.PNG

   적용분야

  • 측량 및 설계

  • ​건설 및 재건축

  • 건축물 및 ​문화재 관리

  • ​항공 사진 및 영상

공사현장.png

   * 용어정리

  • Orthomosaic  -  정사사진 혹은 정사영은 항공사진을 기하학적으로 보정한 사진을 말하며, 따라서 사진의 스케일이 일정하고 사진이 정확도 면에서 지도와 같이 외곡이 없습니다. 보정되지 않은 항공사진과 달리 정사사진은 실거리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정사사진은 지형기복, 렌즈왜곡, 카메라틸티에 대한 보정이된 지표면의 정확한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 Wikipedia.com 

  • DEM - 지리 정보 시스템(GIS)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3차원 좌표로 나타낸 자료의 통칭. 그 중 지형을 표현한 수치 지형 모델(DTM:Digital Terrain Model)과 DTD(Digital Terrain Data), DTED(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 등이 있다. 수치 지형 모델은 지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분포된 지점의 높이 값을 수치로 기록한 것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한 것이다. 수치 표고 모델은 각종 토목 공사 분야에서 댐, 도로, 철도 건설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또한 임의의 위치에서 가시 지역 분석을 통한 전파의 중계를 위한 송신탑의 건설이나 레이더 시설물의 적정 위치 선정을 위한 적지 분석에도 사용된다.

    * 제공

  • 파일 - Orthomosaic , DEM, 등고선, 3D 모델링, 사진

  • 형식 - obj, 3ds, wrl, dae, ply, stl, abc, fbx, dxf, u3d, pdf, shp, tiff, las, laz, xyz

측량 및 설계

  • Orthomosaic을 이용한 정확한 좌표 파악 (오차 : ±5cm이내)

  • 접근하기 어려운 공간의 위치 파악

  • 등고선 생성

  • 도면 및 지적도 착성 용이

  • ​현장의  상황 확인

건설 및 재건축

  • Orthomosaic을 이용한 정확한 좌표 파악 (오차 : ±5cm이내)

  • 3D Model을 이용한 거리, 면적, 부피 계산

  • 촬영당시의 공사 진척 상황 확인

  • 관리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공간의 영상 또는 사진 확보

  • 주기적인 촬영으로 공사 진행 속도 확인가능

  • 현장의 Orthomosaic과 도면의 비교 검토

  • ​객관적인 정보 취득 및 자료제출

건축물 및 문화재 관리

  • 파손, 오손 현상 파악

  • 보존 및 복원을 위한 수치 자료 확보

  • 홍보자료로 활용(3D 모델)

Copyright  © 2018 BusanGIS All rights reserved.

주소 :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로 90번길 1111호 부산공간정보

 대표 : 하상현 / 이메일 : busangis@kakao.com / 전화번호 : 0507-1326-2667

사업자등록번호 : 565-56-00222 / 무선종사자 기술자격 : 18-32-4-0238 / 지도조종자 : TSUA-2018-224
초경량 비행장치 조종 기술자격 : 91-005182 / 드론지도사 : KOR51FD17246

bottom of page